티스토리 뷰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의 과학적 보존처리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Celadon Jar with the Inscription of ‘the Fourth Sunhwa Year’(National Treasure No.326)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의 과학적 보존처리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는 굽바닥에 명문이 새겨져 용도와 사용처, 제작자를 알 수 있는 등 초기 청자의 제작 정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편년자료이다. 청자 항아리는 과거에 여러 번 수리복원
www.kci.go.kr
XRF
? 241107
색은 다르지만 구성 성분이 같기 때문에 같은 재료로 보는 건지
-
A. 맞음
구연부와 저부 모두 Ca, S가 확인되어 같은 성분이라 볼 수 있음. 색이 다른 건 구연부는 석고 복원 이후 채색 안료 및 아크릴 물감으로 색맞춤을 진행했고, 저부는 석고 자체에 회색 안료를 넣어 색맞춤을 진행했기 때문.
SEM
? 241107
표면에 Au가 관찰된 거면 도금된 건가?
-
A. 아님
균열부는 장뇌, 건성유, 송진 등이 포함된 정제 옻을 접착제로 토분을 첨가하여 접합하고 접합선은 다시 정제 옻을 칠한 후 금분으로 표면을 처리했음. 그래서 표면에서 Au가 나온 것
+) 중간에서 C가 검출되어서 유기질로 판단되었다 = 옻을 이야기하는 듯 함
외워둘 표


실시한 분석 순서대로 정리
-
표면손상 확인 > 실체현미경
균열 부위 분포 확인 > 자외선 조사
후면 J자 균열 확인 > CT
-
접착제 확인 > FT-IR
접착제의 층위별 구성 성분 파악 > SEM
여기서 나온 옻을 확인하기 위해 > GC/MS
-
복원제 확인 > XRF
'1일 1논문 훑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113] 석릉(碩陵) 출토 금구자기(金釦瓷器)의 특징과 성분 분석 (0) | 2024.11.13 |
---|---|
[241111] 해남 신덕리 요지 출토 초기청자의 원료 특성과 제작 기술에 대한 과학적 고찰 (0) | 2024.11.11 |
[241110] 휘발, 탈색된 문서의 디지털 복원 (0) | 2024.11.10 |
[241109] C=O stretching (0) | 2024.11.09 |
[241108] ER-FT-IT을 이용한 회화물감 종류 해석 (0) | 2024.11.08 |